티스토리 뷰

목차


    k팝 관련주는 최근 국내외에서 높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키워드 수혜주 대부분이 국내 시가총액 300위권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라는 점입니다. 대장주군은 아티스트 글로벌 활동, 음반/음원 매출, IP확장성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1. k팝 관련주 TOP7

    종목명 업종
    ✔️하이브 엔터테인먼트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JYP Ent. 엔터테인먼트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
    ✔️디어유 엔터테인먼트/플랫폼
    ✔️CJ ENM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스튜디오드래곤 드라마/콘텐츠 제작

     

    2. 하이브

    종목분석

     

    하이브는 BTS, 세븐틴, 뉴진스 등 글로벌 아티스트를 보유한 국내 1위 K팝 대장주입니다. 음반, 음원, MD, 플랫폼 등으로 사업 다각화에 성공했습니다. 최근 BTS 완전체 컴백 등 대규모 이벤트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 시가총액: 10조 4,547억원
    • 시총순위: 코스피 50위권
    • 업종 상세: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글로벌 IP
    • 종목코드: ✔️352820

    관련성

    국내외 K팝 팬덤 확장, BTS 컴백, 자회사 플랫폼 성장 등으로 K팝 테마주 중 압도적 리더십을 보유합니다. 글로벌 투어, 미국 시장 공략 등이 호재로 작용합니다.

    투자포인트

    • BTS 완전체 복귀로 인한 대규모 실적 개선 기대
    • 신인 그룹 뉴진스, 제로베이스원 등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 플랫폼 위버스 기반 팬덤 생태계 극대화

    리스크

    • BTS 단일 아티스트 의존도가 높아 수익 변동성 존재
    • 해외 공연 및 사업 확장 시 환율, 정책 리스크
    • 경쟁 심화로 인한 히트 아티스트 발굴 비용 상승

     

    3. 에스엠

    종목분석

     

    에스엠은 엑소, NCT, 라이즈 등 대형 보이그룹, aespa(에스파) 등 신인 걸그룹 IP를 다수 보유한 K팝 대표 테마주입니다. 카카오와의 지배구조 안정으로 콘텐츠 사업 확장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 시가총액: 2조 9,649억원
    • 시총순위: 코스닥 10위권
    • 업종 상세: 음원/음반, 메타버스 IP
    • 종목코드: ✔️041510

    관련성

    SM의 다양한 아티스트와 글로벌 IP는 K팝 관련주 흐름의 핵심입니다. 북미, 일본 등 해외 법인 확장도 테마성을 강화시킵니다.

    투자포인트

    • 글로벌 슈퍼스타 NCT, aespa IP를 통한 확장성
    • 메타버스, 위버스 등 플랫폼 활용 가치 증대
    • 신사업(드라마, 콘텐츠) 매출 본격화

    리스크

    • 아티스트 이탈, 계약 분쟁 위험
    • 일부 주력 아티스트 병역, 건강 이슈
    • 신사업 흑자 전환 불확실성

     

    4. JYP Ent.

    종목분석

     

    JYP Ent.는 트와이스, 스트레이키즈, ITZY 등 글로벌 키워드 수혜주를 대표하는 대형 아티스트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굿즈, NFT 등 신사업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 시가총액: 2조 4,766억원
    • 시총순위: 코스닥 15위권
    • 업종 상세: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패션
    • 종목코드: ✔️035900

    관련성

    JYP Ent.의 글로벌 팬덤, 스케일 확장력은 테마주 등극의 주요 배경입니다. 북미, 일본 진출 및 소속 아티스트의 글로벌 활동이 두드러집니다.

    투자포인트

    • 트와이스, 스트레이키즈 등 멀티 라인업 흥행
    • 글로벌 굿즈, 공연, NFT 수익 다각화
    • 신인 그룹(키즈, 엔믹스 등) 성장 모멘텀

    리스크

    • 경쟁사 신인 그룹 흥행 경쟁 심화
    • 글로벌 이슈(미중 분쟁, 환율 등) 민감
    • 플랫폼 수익 모델 안정화 필요

     

    5.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블랙핑크, BABYMONSTER 등 K팝 글로벌 걸그룹 파워의 핵심 대장주입니다. 콘텐츠 사업 다각화, 해외 투어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가 강점입니다.

    • 시가총액: 1조 4,841억원
    • 시총순위: 코스닥 20위권
    • 업종 상세: 엔터테인먼트, 글로벌 매니지먼트
    • 종목코드: ✔️122870

    관련성

    블랙핑크 글로벌 투어, 신인 BABYMONSTER 흥행 모멘텀은 YG만의 차별적 강점입니다. K팝 대장주 이미지가 강하여 테마주 매수세가 유입됩니다.

    투자포인트

    • 글로벌 걸그룹 파워, 블랙핑크·BABYMONSTER 수혜
    • IP확장, 게임·굿즈 등 매출 다각화
    • 해외 시장 아티스트 경쟁력 구축

    리스크

    • 주력 아티스트 재계약 리스크 상존
    • 해외시장 매출 불확실성
    • 엔터 시장 전반 경쟁 심화

     

    6. 디어유

    종목분석

     

    디어유는 K팝 팬 플랫폼 '버블' 사업을 통해 아티스트와 팬을 실시간 연결, 키워드 수혜주로 등극한 IT엔터기업입니다. 여러 소속사의 팬덤 시장 지배력이 강점입니다.

    • 시가총액: 1조 979억원
    • 시총순위: 코스닥 30위권
    • 업종 상세: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 종목코드: ✔️376300

    관련성

    음반·음원, 팬 플랫폼, MD 등 다양한 수익모델로 엔터산업 융합을 이끌며 K팝 테마주 흐름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투자포인트

    • 팬덤 플랫폼(버블) 독점 효과
    • 해외 확장성(일본, 동남아 등)
    • 아티스트·레이블 다각 파트너십

    리스크

    • 유료 멤버십 성장 둔화 시 수익성 저하
    • 타 경쟁 플랫폼 성장에 따른 시장 점유율 감소 위험
    • 글로벌 진출 시 정책·언어 장벽

     

    7. CJ ENM

    종목분석

     

    CJ ENM은 음반, 방송, 영화, 공연, 미디어플랫폼을 아우르는 K팝 테마주의 중추 기업입니다. Mnet, MAMA 등 K팝 페스티벌, 대형 글로벌 음반사와의 파트너십으로 파급력이 큽니다.

    • 시가총액: 1조 4,079억원
    • 시총순위: 코스닥 35위권
    • 업종 상세: 미디어, 방송, 음반
    • 종목코드: ✔️035760

    관련성

    K콘텐츠 세계적 붐의 진원지 역할, 아티스트와 글로벌 레이블의 연결고리로 키워드 테마주로 부각됩니다.

    투자포인트

    • MAMA 등 K팝 국제 페스티벌 개최
    • 콘텐츠 유통 채널의 글로벌 확장
    • 음반, 영화 등 IP 융합 비즈니스

    리스크

    • OTT, 유튜브 등 뉴미디어 환경에 따른 매출 변동성
    • 대규모 콘텐츠 투자 손실 위험
    • 지속적 인력, 마케팅 비용 부담

     

    8. 스튜디오드래곤

    종목분석

     

    스튜디오드래곤은 드라마, 예능 등 K콘텐츠 기획·제작 전문기업으로, K팝 아티스트와의 협업작업, 글로벌 유통으로 키워드 수혜주 성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시가총액: 1조 3,466억원
    • 시총순위: 코스닥 40위권
    • 업종 상세: 콘텐츠 제작, 드라마, 예능
    • 종목코드: ✔️253450

    관련성

    K-POP 아티스트·콘텐츠 콜라보, 음악 IP 기반 한류 확장에 기여하며 K팝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투자포인트

    • 글로벌 OTT(넷플릭스 등)와 콘텐츠 공급 계약 확대
    • K팝 아티스트와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 해외 2차 판권 유통 실적 증가

    리스크

    • 신규 콘텐츠 투자 위험
    • 글로벌 콘텐츠 시장 경쟁 심화
    • K팝 협업 IP 흥행 실패시 매출 감소

     

     

     

    이상으로 K팝 관련주, 대장주, 테마주, 수혜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내 빅4 엔터, 플랫폼, 미디어 기업은 K콘텐츠 확장 속도와 IP확장성이 중요해지는 흐름에 강점이 있습니다. 키워드 관련주 투자 시, 실적 변동성과 글로벌 이슈 리스크를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팝 관련주

     

    k팝 관련주 k팝 대장주 k팝 테마주 k팝 수혜주에 대한 정보였습니다.

    [위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닌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니 투자 시 유의하세요. 작성자는 투자자의 투자 결과에 대한 어떤 법적, 경제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